해외 주요 기업들의 디지털 상속 정책 비교 –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1. 디지털 자산도 상속의 대상이 되는 시대현대인의 일상은 디지털 계정과 플랫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메일, 유튜브, 클라우드, SNS, 암호화폐 지갑 등은 더 이상 단순한 온라인 서비스가 아닌, 개인의 자산과 기록을 보관하는 공간이다. 이처럼 디지털 자산이 개인의 주요 재산으로 인식되면서, 사망 이후의 디지털 계정 관리와 상속 문제가 점차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과거에는 유족이 사망자의 이메일이나 SNS를 그냥 방치하거나 삭제 요청을 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튜브 채널, 암호화폐, 클라우드 자료 등 금전적 가치까지 포함한 자산의 성격이 강해지면서, 글로벌 IT 기업들도 점차 사망자 계정 처리 및 상속 정책을 공식화하고 있다.예를 들어, 미국의 한 유튜버가 갑작스럽게 사..
2025. 8. 21.
플랫폼별 디지털 유산 상속 정책 비교: 구글, 애플, 카카오, 네이버
1. 플랫폼이 곧 자산이다 – 상속도 개별 정책 따라 달라진다디지털 자산이 실생활의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사람들은 이제 ‘내가 죽은 뒤 이 계정은 누가 관리하게 될까?’라는 현실적인 질문을 하게 되었다.한 사람의 삶이 온라인에 깊숙이 녹아든 지금, 구글 계정에는 이메일과 구글 드라이브가, 애플 계정에는 사진과 아이클라우드가, 카카오에는 메시지와 페이 내역이, 네이버에는 블로그·메일·마이박스가 저장돼 있다.하지만 문제는, 이처럼 중요하고 민감한 정보들이 사망 이후 법적으로 상속 대상이 될 수 있는지, 누가 접근하고 삭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점이다.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처리는 플랫폼이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사후 계정 처리 기능’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기능들은 각 플랫폼마다 제도와..
2025. 8. 7.
한국에서 디지털 유산 관련 법이 없는 이유
1. 디지털 유산은 늘어나는데, 법은 그대로입니다현대인의 삶은 대부분 온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SNS, 이메일, 사진, 암호화폐, 클라우드, 유튜브, 블로그, 인터넷 은행 계좌, 각종 포인트, 멤버십 등 수많은 디지털 자산이 일상의 일부가 되었다. 하지만 막상 누군가 세상을 떠났을 때, 남겨진 가족들이 이 자산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는 명확하지 않다. 특히 한국에서는 ‘디지털 유산’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나 절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대한민국 민법은 기본적으로 상속에 대해 “사망자의 재산은 상속인의 권리와 의무로 승계된다”고 규정한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재산’은 대부분 **전통적인 유형 자산(현금, 부동산, 채권 등)**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개념이다. 디지털 자산처럼 비물질적이고 기술적 특성이 강..
2025. 8. 6.